728x90

선물

아이들이 좋아서 교사가 되었지만
아이들 때문에 힘들 때도 많다.

그래도 쉬는 시간에 종이도 접어 주고,
선생님도 그려 주고, 사랑한다고 편지도 써준다.

요즘에는 쉬는 시간에 조용히 다가와
서로 안마를 해주겠다고 아우성이다.

아이들 때문에 고되기도 하지만
아이들 때문에 힘이 나기도 한다.

오늘은 문장 부호도 배우고, 덧셈 놀이도 하고
비석치기 놀이, 사물놀이도 하며 추억을 만들어 보자.



728x90

추석 전에 EBS 작가로부터 연락이 왔다.
내가 오래 전 블로그에 올린 수업 후기를 보고 영상에 꼭 담고 싶다고 했다.

어떤 수업이냐고 물었는데, '국토개발게임' 수업이라고 한다. 기억이 가물가물해서 정작 나도 검색을 해보고 알았다.

나는 현재 1학년 담임인데다 교장 선생님 허락도 받아야 하고 6학년 학생들 동의도 받아야 한다고 잠시 보류를 했다.

작가님이 자신의 기존 작품을 보내주며 열정과 성의를 보여 고민 끝에 수락을 했다.

이런 저런 여정을 통해 6학년 학생 3명을 추천 받아 수업 영상을 촬영했다. 출연진이 나를 포함하여 네 명인데 촬영 스텝이 7명이 오셨다.
(CP 1명, PD 1명, 작가 1명 , 촬영감독 2명, 오디오 감독 1명, 어스시턴트 1명)

6학년 아이들과는 대화가 통해 간만에 깊이있는 수업을 했다. 다양한 의견과 반응을 생생하게 주고 받았다.

EBS국토채널 5분 영상을 위해 6시간을 촬영하였다.
시월 말에 오픈한다고 하는데 어떤 영상이 나올지 기대가 된다.

살다 보니 이런 일도 있다.
영상 촬영을 위해 아낌없는 지원과 격려와 응원해주신 분들께 다시금 감사드린다.

이제 현실 세계로 돌아와서
오늘은 1학년 꼬마 고객님들과 어떤 수업을 할지 준비해야겠다.

#EBS국토채널
#펭수그립톡
#다시금현실세계



728x90

2022.09.02(금) 동부초 리더십 특강/ 인천동부초등학교 전교어린이회의 임원 리더십 특강

작년 2021년 1학기, 2학기에 이어 올 2022년 1학기, 2학기까지 벌써 네 번째 동부초 전교어린이회의 임원들과 리더십 특강으로 만났다.


#마인드업 인사놀이

서로 어색한 사이인지라 토닥토닥 카드를 활용하여 마인드업 시키는 인사 놀이를 하였다. 4학년 2명, 5학년 2명, 6학년 2명씩 만나서 인사를 하고 앉았다. 서로 몰랐던 사이였지만 간단한 인사를 하고 나니 더욱 친해진 것 같다고 하였다.


#리더의 마음관리

신문지 놀이로 마음 속 불편함, 어려움, 속상함을 풀어 보는 시간을 가졌다. 학급임원으로 많은 친구들 앞에서 바른 생활을 해야하는 입장이라 나름의 스트레스가 있어도 제대로 풀지도 못하고 어디에 이야기도 못했을 것이다.

처음에는 옆에 있는 친구들 눈치 보느라 제대로 마음 속 감정을 제대로 풀어내지 못했지만 배경음악을 틀어 주고 격려를 해주니 한 두명의 친구들이 쓰는 것을 보며 제법 감정을 글로 표현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이서, 넷이서 도와주고 격려하며 신문지 격파를 하며 그 동안의 스트레스를 날려 버렸다. 아이들 표정이 조금씩 밝아지는 모습을 오기를 잘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애들이 무슨 스트레스가 있겠나 싶지만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누구나 저마다 스트레스가 있다. 우리 아이들도 교우관계, 학업 스트레스, 가정 문제 등의 문제들이 있다. 말을 안 해서 그렇지 얼마나 힘들고 괴롭고 아픈 것들이 자리하고 있을까.

제대로 푸는 법도 모르고, 그럴 시간도 없고, 그걸 누가 친절하게 가르쳐 주는 사람도 없으니 얼마나 힘들고 아플까.

오늘 함께 한 시간이 잠시 잠깐이지만 나름의 스트레스를 풀고 가벼운 마음으로 간다는 후기를 보니 내 마음도 가벼워진다.

#스트레스를 날려버려

이 곳에 여러분의 스트레스를 모두 날려 버리고, 다시 가져 가지 마세요.

언제든 또 스트레스가 쌓이면 내버려두지 말고, 친한 친구와 함께 푸는 시간을 가져 보세요.


#살아있는 글쓰기

감동이 사그라들기 전에, 서서히 잊혀지기 전에 그 순간의 생각과 감정을 써내려갈 때 좋은 글을 쏟아진다. 모든 활동을 마치고 5분 글쓰기 시간을 통해 나온 소감문이 살아있다.

그 소감문을 읽으면서 90분의 시간이 생생하게 되살아난다. 나에게는 그 어떤 강의평가 보다 더 실감이 난다. 어떤 수업을 해야할지, 어떤 강의를 준비하고 운영해야할지 피드백이 절로 된다.


#소감문

소감문이 살아있다.
읽으면서 아이들의 생생한 음성이 들려오는듯 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