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스마트 BEST 100>


제10강 "핑퐁(Pingpong)"으로 쌍방향 수업하기




1. 핑퐁이란?


 핑퐁은 스마트 기기에서 교사(강연자)가 학생(청중)의 반응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도와주는 Smart Clicker 서비스입니다.


  1) 핑퐁 소개



  2) 핑퐁 소개 영상 



2. 핑퐁의 장점


  실시간 반응 확인으로 수업 집중도를 향상시키며, 선생님이 수업 중에 질문을 묻고 학생들이 이에 응답하면 실시간으로 학생들의 반응이 집계되어 학생들의 수업 이해도가 한 눈에 파악되며 보다 효과적인 수업 진행이 간응하게 도와줍니다.



3. 핑퐁의 특징 : 편리한 사용과 접근성


  1) 교사 : 별도의 가입 절차 없이 구글 혹은 페이스북 계정 연동으로 바로 핑퐁 서비스 사용 가능


  2) 학생 : 별도의 가입 절차 없이 교사의 룸코드와 자신의 이름만 입력하면 사용 가능


  3) 도구 : 윈도우, 안드로이드, 아이폰 등 어느 운영체제에서나 활용이 가능함




4. 핑퐁의 활용 - 주요 메뉴 살펴보기


  1) 퀴즈 도구 : 객관식, 참/거짓, 주관식, 그림 그리기

    - 객관식 : 학생들이 4개의 보기 중 답을 선택하면 그래프를 통해 실시간으로 결과 확인 가능

    - 참/거짓 : 특정 논제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2가지로 나누어 그래프로 파악 가능

    - 주관식 : 어떤 논제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확인 가능. 어떤 학생의 의견인지도 확인 가능

    - 그림 그리기 : 그리기 기능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 가능


  2) 수업 도구 : 핑퐁보드, 에버노트, 타이머, 랜덤 지목

    - 핑퐁보드 : 자유롭게 글을 입력하거나 그림을 그릴 수 있음. 수업에 시각적인 재미를 더해 학생들의 흥미를 끌어 낼 수 있음

    - 에버노트 : 에버노트를 연동하여 각종 수업자료를 핑퐁보드에 서 열어 볼 수 있음

    - 타이머 : 타이머를 설정하고 정해진 시간에 알람을 울리게 할 수 있음. 형성평가나 발표 시간에 사용할 수 있음

    - 랜덤 지목 : 현재 접속되어 있는 학생들을 무작위로 지목할 수 있음. 발표 또는 상을 받을 학생을 선정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잇음



5. 핑퐁 이용방법 영상 살펴보기









728x90

<스마트툴 BEST 100>


제9강 "NFC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나요?"



1. NFC란?


  1) 10cm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태그를 소지한 단말기끼리 정보를 주고 받는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의미


  2) NFC 기능을 활용하면 물체에 장착된 태그가 서로 인식하여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정보를 읽을 수 있게 됨



2. NFC의 특징


  1) 데이터 읽기와 쓰기가 모두 가능

  2) 기기 설정을 별도로 할 필요가 없음

  3) 통신 거리가 짧아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함

  4) NFC용 스티커의 경우 가격이 저렴하여 재활용이 가능함



3. NFC 활용 사례


  1) 인증을 통한 출입문 개폐(도어락)

  2) 모바일 단말기간 접촉 응용 서비스

  3) 정보제공 및 맞춤형 광고 관련 응용 서비스

  4) 박물관 관광 정보 제공(음성,문자) 및 위치 안내

  5) 이메일 등의 정보교환, 단말기 간 자료교환을 위한 무선 접속 등

  6) 포스터 접촉을 통한 공연 티켓팅, 대중교통 티켓팅, 위치기반 광고 및 쿠폰 제공이 가능함






728x90

<스마트툴 BEST 100>


제8강 타임랩스(Time Lapse)를 활용한 수업 이야기



1. Time Lapse란?


  1) 의미 : 일정하게 정해진 간격으로 움직임을 촬영한 후 정상 속도로 영사하는 것

               (정상 속도로 영사하면 빠른 움직임으로 표현됨)

  2) 방법 : 각 프레임들을 일정한 시간에 주기적 간격으로 움직이는 대상을 촬영

  3) 예시 : 꽃이 피는 과정을 짧은 시간에 표현할 수 있음

  4) 기타 : 시간 경과 촬영은 애니메이션 영화의 단일 프레임 촬영 기법과 유사하기 때문에

 영사했을때 이미지의 연결이 애니메이션이나 픽실레이션과 비슷하게 나타남


[타임랩스 기법을 이용한 '하늘 변화'영상]

<영상출처: 유튜브(http://youtu.be/r6sgojf-LzM)>



2. Time Lapse 영상 제작을 위한 App과 장비


  1) 스마트폰 App : Lapse It, Time Lapse, Lite

  2) 장비 : 카메라 삼각대, 스마트폰 고정장치, 조명



3. Time Lapse 활용시 주의사항


  1) 전화 기능이 없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함

  2) 하루 이상의 야외 촬영시 빛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조명 설치를 고려애햐 함

  3) 흔들림 없고 똑같은 위치의 촬영을 위하여 삼각대 및 스마트폰 고정장치가 필요함

  4) 장시간 촬영을 위하여 스마트 기기에 충분한 배터리 또는 충전을 위한 전원선이 연결되어 있어야 함



4. Time Lapse 활용 수업 사례

  

  1) 과학 수업 : 태양의 고도, 강낭콩 관찰 등


[타임랩스 기법을 이용한 '강낭콩 성장' 영상]

<영상출처: 유튜브(http://youtu.be/pB4ASdELBbQ)>


  2) 미술 수업 : 그림 그리기 및 작품 제작 과정을 담아 수업에 활용 가능




<참고>

  -  학급경영과 수업에 바로 활용하는 스마트툴 BEST 30. 김황 선생님





728x90


ZoomIt.exe



* 활용안내 : http://goo.gl/D67AGh


728x90

<스마트툴BEST100>


제7강 무료 온라인 미디어 편집기



  우리가 자주 접하는 영상 중 유튜브 및 구글 영상을 원하는 파일 형식(MP3, MP4, MOV, AVI) 저장과 구간별로 편집할 수 있는 무료 사이트가 있어서 소개합니다.


1. 유튜브(Youtube)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하기 원하는 영상을 검색합니다.

  - 화면 하단 중간부에 '공유'버튼을 누릅니다.

  - 공유 URL이 나타나면 '복사'(Ctrl+C)를 합니다.



2. 무료 온라인 미디어 레코더 사이트인 클립컨버터(www.clipconverter.cc)사이트로 이동합니다.

  - 해당 사이트 중간에 'URL'을 붙여넣기 합니다.

  - 변환형식(MP3, MP4, 3GP, AVI, MOV)을 선택합니다.

  - 'Continue'(계속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3. 동영상 추출 구간을 설정하고자 한다면, 아래 화면을 참고하세요

  - Convert from 영역에서 '시작지점(Start Video)'과 '종료지점(End Video)'을 지정합니다.


4.해당 영상이 맞는지 확인 후 파일크기를 선택합니다.

  - 파일형식 확인 후 'Start'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728x90

<스마트툴BEST100>


제6강 유튜브(Youtube) 동영상을 무료로 다운 받는 2가지 방법



1. 유튜브(Youtube) 동영상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사이트-(1)

  : www.ssyoutube.com


  1) 유튜브(www.youtube.com)사이트에서 다운받기 원하는 영상을 검색합니다.


  2) 해당 동영상 아래 '공유' 를 클릭합니다.


  3) '공유'를 위한 '주소'를 복사합니다.




  4) 인터넷 주소창에 "www.ssyoutube.com"을 친다.

    -  기존의 유튜브(www.youtube.com)사이트에 'ss'를 삽입하면 됩니다.


  5) 유튜브에서 다운받기 위해 복사한 주소를 '붙여넣기' 합니다.


  6) 다운받기 원하는 영상이 검색결과에 나오면 맞는지 확인합니다.


  7) '동영상 크기'를 선택한 후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원하는 위치에 저장이 됩니다.







2. 유튜브(Youtube) 동영상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사이트-(2)

  : http://keephd.com


   유튜브 동영상을 다운로드 하는 프로그램들이 많다. 다른 PC를 이용할 때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해야 하는 귀찮음을 해결해줄 수 있는 사이트를 활용할 것을 추천한다.





3. 유튜브에서 음악만 검색할 수 있다 

  : http://www.youtube.com/disco


  유튜브에서 음악이나 아티스트 관련 동영상만 검색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4. 유튜브 동영상의 특정 시간부터 플레이 되도록 외부에 링크하려면?


  유튜브 동영상을 홈페이지나 블로그 등에 공유할 때 '공유'에 '소스 코드'에서 지정해주는 html을 복사해서 붙이면 된다. 처음부터가 아닌 특정 시간부터 보여주려면 html코드 중에 유튜브 동영상 주소 뒤에 '&star=시간'을 추가하면 된다. 여기서 '시간'은 1분부터일 때는 '100'이고, 1분 25초부터 일 때는 '125'이다. 시간은 동영상 플레이바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했을 때 나타나는 '현재시간에 동영상 URL복사'를 클릭하면 't=숫자s'가 보인다. 여기에서 숫자가 시간이다. 이 숫자를 '&start='에 붙이면 된다.



<참고>

  - SNS의 모든 것. 김대중. 경향미디어(2013)


728x90

<에버노트 시리즈 강의>


제4강 "에버노트의 효과적인 노트북 구성은 어떻게?"

(에버노트 노트북 구성 사례)



  에버노트를 처음 사용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알아두어야할 개념이 '노트-노트북-스택'입니다. 저도 처음에는 이 세가지 개념이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 한참 고생했습니다. 그런데 자료들이 조금씩 쌓이다보니 노트들을 하나의 기준을 가지고 주제별로 모아야겠다는 필요가 생겼습니다. 


1. 기본적인 개념 설명


  1) 노트(Note)와 태그(Tag)

  제가 처음에 이해가 안되었던 개념에 대한 설명을 간단히 그림으로 그려보았습니다. 에버노트에서 자료를 수집할때 정보 각 페이지를 '노트(Note)'라고 합니다. 이 '노트' 한 장에는 원하는 만큼의 '태그(Tag)'인 꼬리표를 붙일 수 있습니다. '태그'는 나중에 필요한 자료를 보다 쉽게 검색할 목적으로 붙여나가면 됩니다.


  2) 노트북(Notebook)

   '노트'들이 쌓이면 주제별로 모아둘 필요성을 느끼게 됩니다. 그러면 이 때 '노트북'을 하나 만들어서 관련 '노트'들을 주제별로 이동해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처음에 간단한 노트북을 만든 후 관리하다가 주제들이 많아져서 크게 다섯 가지 주제로 나누어서 노트북을 만들어서 사용중입니다.


  3) 스택(Stack)

 한편 노트들이 많아지면 또 다시 더 큰 상위개념으로 묶어서 보관할 필요성을 느끼게 됩니다. 자료가 많아지다보면 보다 명확한 구성능력이 필요합니다. 이 때 '스택'이라는 개념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래 그림에서 표현했듯이 '스택'은 잘 쌓여진 책 더미를 말합니다. 마치 책장 한 칸의 책들의 모임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가 편하십니다.

<에버노트 노트, 노트북, 스택의 관계를 정리한 그림>


  

2. 노트북의 구성 방법


에버노트의 기본 구성인 '스택-노트북-노트, 태그'를 이해하셨다면 이를 바탕으로 노트북-스택의 구성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저의 노트북 구성 사례를 참고하셔서 각자 주제 및 기준에 맞는 노트북을 만들어서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나의 스택 구성 사례>


1. 스택의 구성

  0) 자료 스택 : 가장 기초적인 자료 수집으로 '노트관리/ 자료수집함/ GTD/언젠가/어쩌면' 스택들이 있으며 그 스택 안에는 그 주제와 관련된 노트북들로 묶었습니다.



  1) 심력 스택 : 마음의 힘을 키우기 위한 자료들로 '기도/묵상/비전/성경'관련 노트북들을 만들어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2) 지력 스택 : 각 분야별 유용한 자료를 주제별로 담고자 고민하던 차에 '교보문고식 도서 분류법'이란 신문 기사를 보면서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 A-잡지~K.종교 부문까지 교보문고를 찾는 고객들이 손쉽게 원하는 도서를 찾을 수 있도록 배열한 방식입니다. 저도 이를 참고로 지력 스택에 분야별 노트북들을 만들어서 관련 정보를 해당 노트북에 스크랩하고 있습니다.


  3) 체력 스택 : 건강 관리 및 체력 향상을 위한 각종 정보를 담은 스택으로 '영양/휴식/운동/질병'이란 노트북을 만들어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4) 관리 스택 : 자기관리능력을 키우기 위한 스택으로 '일기/시간/재물/차량/매뉴얼/실적/연수/취미'등에 관한 노트북을 만들어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6) 대인 스택 : 사회적/대인관계 능력을 키우기 위해 '가족/직장/교회/연구'등과 관련된 스택-노트북을 만들어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가족 안에는 자녀 및 본가/처가 식구들과 관련된 추억들로 가족들의 사진, 자녀들을 키우며 배우는 육아일기 등의 노트북들이 있습니다. 

  

  [교회 스택]에는 단순하게 '교회'관련 정보를 모두 담은 '교회 노트북'과 목사님의 설교를 정리한 '설교노트' 노트북, 어린이부와 관련된 '어린이부' 노트북을 만들어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직장 스택]에서는 크게 학교, 상담, 학급경영, 각종 교육관련 노트북 등을 만들어서 해당 자료들을 담아서 저장 및 활용하고 있습니다. 학생 상담 및 학급 경영 관련해서는 '학생 이름'을 '태그'로 붙여서 검색이 용이하도록 하였습니다.


  지금까지 에버노트의 노트북 구성을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사용할지를 고민하며 에버노트 관련 책들을 참고하여 저에게 최적화된 '스택 및 노트북의 구성'에 관한 나눔이었습니다. 아주 한참 부족하지만 저의 장단점을 잘 활용하셔서 더욱 유용한 방식으로 에버노트란 도구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다음 시간에는 '에버노트를 개인업무에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바로 GTD방식을 활용한 업무처리방식으로 '에버노트'라는 도구와 함께 활용할 수가 있습니다. 복잡하고 무거운 업무 폭탄 속에서 제가 살아남는 비결을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다음 주 금요일에 뵙겠습니다!





728x90

<스마트툴BEST100>


제6강 '수학 관련 App'을 활용한 수학 수업



1. App을 활용한 수학 수업의 좋은 점


  1) 정서적 효과

    - App을 활용한 수학 게임을 통해 수학적 흥미 유발 및 논리성 신장

    - 반복되는 단순 연산 문제를 게임요소를 포함한 수학용 App 활용을 통해 수학에 대한 흥미 지속

  2) 비용 절감 효과

    - 수학 수업의 준비물 절감

    - 간편한 측정으로 시간 및 에너지 절감

  3) 지식적 효과

    -  조작이나 이동이 어려운 수학 교구의 단점 보완

    - 실생활 문제를 교실로 끌어들여 학습 자료로 활용 가능



2. App을 활용한 수학 수업 시 주의 사항


  1) 사전에 학생들이나 학교 스마트 디바이스에 App을 설치해 두기

  2) 무료 App을 사용할 경우 유해한 광고 여부 살펴두기

  3) 교사가 App을 먼저 설치해 보고 정상작동 등의 이상 유무 확인하기

  4) App이 본 수업이나 학습의 목적에 부합하는지 판단하기

  5) App 활용이 학생들의 수학적 문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하기



3. 수학 관련 App 검색 방법


  1) 수학 수업의 주제 단어로 검색하는 방법

    - 예시 : 구구단, 도형, 대칭 등

  2) 수학 수업에 필요한 자료나 교구를 단어로 검색하는 방법

    - 예시 : 계산기, 쌓기나무, 원판, 눈금자, 각도기 등



4. 수학 수업용 App 종류


  1) 수학 게임용 App : 배틀 구구단, 2플레이어 수학게임, 수도쿠, 하노이탑, 탱그램

  2) 확률 수업용 App : 주사위, 원판, 동전 던지기 등

  3) 도형 수업용 App : 쌓기나무, 도형의 대칭 등

  4) 수학 측정용 App : 눈금자, 각도기 등



<참고>

  - 학급과 수업에 바로 활용하는 스마트툴 BEST 30. 김황 선생님





728x90

<스마트툴BEST100>


제5강 '에버노트 스키치'로 이미지 편집 및 공유하는 방법




1. 에버노트 스키치(Skitch)란?


  직장에서 문서편집을 하거나 보고서를 작성할 때, 이미지 자료를 활용할 일들이 많다. 이 때, 모바일이나 데스크탑에서 손쉽고 가볍게 쓸만한 이미지 편집도구가 있다. 그것이 바로 '에버노트 스키치(Skitch)'앱이다.



  에버노트 연동 앱의 삼총사 중 마지막 '스키치'앱에 대해 소개해드립니다! 에버노트 스키치는 주석, 도형 및 스케치를 사용하여 요점을 간단히 정리할 수 있으므로 아이디어를 더 빠르게 실현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태블릿 및 데스크탑에서 손쉽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2. 에버노트 스키치(Skitch)의 용도


  1) 그림으로 표현하기
    주석 및 표식을 사용하여 신속하게 중요한 사항에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2) 더 적은 단어로 말하기
    도형, 화살표 및 빠른 스케치로 점을 만들어 표현할 수 있습니다.

  3) 프로젝트 앞으로 이동
    데스크톱, 태블릿, 휴대폰에서 스키치를 사용하여 피드백을 주고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3. 에버노트 스키치(Skitch)의 설치방법


  1) 에버노트 홈페이지에서 하단 좌측에 '제품'을 클릭합니다.


  2) 에버노트 '스키치(Skitch)' 이미지를 클릭합니다.



  3) 에버노트 '스키치(Skitch)' Windows용 내려받기를 클릭합니다.




4. 에버노트 스키치(Skitch)의 도구 설명


중앙 상단에 있는 '화면 캡처'를 누르면 최근 화면이 나옵니다. 그 화면에서 캡처하기 원하는 장면을 지정하여 스키치 편집 도구를 활용하여 가공이 가능합니다. 그리고나서 우측 상단에 '공유 또는 Evernote 저장'으로 보관 및 공유를 하시면 됩니다.


<스키치 도구 모음>




728x90
<에버노트 시리즈 강의>

제3강 '에버노트' 둘러보기
(에버노트의 기본 메뉴 및 기능 살펴보기)



  에버노트를 본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에버노트에 익숙해줄 필요가 있다. 이번 시간에는 모바일을 기준으로 에버노트의 기본적인 메뉴 및 기능들을 가볍게 살펴보겠습니다. 



[에버노트 살펴보기]


1. 왼쪽 메뉴바 구성

  1) 개인 노트 
    개인 노트 메뉴를 클릭하시면 작성한 모든 노트 보기 가능

  2) 비즈니스 노트 
    에버노트 비즈니스 가입자의 경우 직장 동료간 노트북 공유 가능

  3) 노트북
    개인이 구성한 노트북 및 스택을 가나다 또는 숫자 순으로 보기 가능

  4) 태그
    노트마다 검색할 때 쉽게 찾아낼 수 있는 단서 역할을 하는 꼬리표인 '태그'의 '가나다' 또는 '숫자' 순으로 보기 가능

  5) 바로가기
    평상시 자주 사용하는 노트북을 '바로가기' 메뉴로 이동시키면 한번의 클릭으로 해당 노트북을 보고 작업 가능

<에버노트 왼쪽 메뉴바>



2. 노트 작성 도구 모음


  1) 손글씨 

    자신의 손글씨로 노트 작성 가능



  2) 오디오 

    육성 녹음이나 회의 진행 과정, 상담 과정을 녹음할 때 사용 가능



  3) 알리미 
    
    원하는 날짜와 시간에 확인이 필요한 경우 알리미 기능 사용



  4) 첨부파일 

    그림, 파일, 비디오, 오디오 파일 첨부 가능




  5) 카메라 

    세 종류(문서, 일반, 포스트잇)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각종 문서, 활동장면, 사람, 포스트잇 메모 등을 촬영하여 저장 가능




  6) 텍스트 

    자판을 이용해 텍스트로 노트 작성 가능



  7) 음성을 텍스트로 

    순간적인 느낌을 기록하거나 텍스트 입력이 힘들 경우 음성을 텍스트로 노트 작성 가능
 


  8) 비디오 

    영상촬영 기능을 통해 비디오 파일로 노트 작성 가능



  9) 스키치 

    이미지 편집 도구인 스키치로 각종 그림이나 사진을 편집하여 노트 작성 가능



<노트작성 도구 모음>



3. 노트북 구성(예시)


  개인마다 중요한 노트북이 있습니다. 자신만의 기준을 가지고 노트북의 구성을 잡아서 노트북을 생성 후 관련 노트북끼리 스택을 만들면 됩니다. 처음부터 노트북을 만들지 않아도 됩니다. 
  먼저 한 개의 노트북에 정보수집을 하다가 자신만의 카테고리가 생기면 그 때 노트북을 만들어서 노트를 이동시키면 됩니다. 저의 경우에는 처음부터 '지력, 심력, 체력, 자기관리능력, 인간관계능력'의 5가지(*5차원전면교육학습법 참고)로 주제를 가지고 스택을 구성하였습니다.
  다음은 5가지 주제로 스택을 구성한 저의 노트북이오니 참고하시고, 여러분만의 노트북을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1) #000. 노트관리 

    각종 아이디어, 에버노트, 블로그의 주제로 노트북을 구성


  2) #010. 수집함 

    수집함 스택은 '@inbox'라는 노트북을 만들어 유용한 자료를 1차적으로 수집 및 저장하는 장소로 활용


  3) #020. GTD(업무처리방식) 

    '집, 직장, 컴퓨터, 전화, 외부, 대기' 등 장소별 노트북을 만든 후 처리해야할 업무들을 해당 노트북에 작성 및 저장 후 '알리미'기능을 통해 관리함

    (*GTD방식의 업무처리방법은 추후 포스팅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030. 언젠가/어쩌면

    지금 당장 할 수 없는 일이지만 '언젠가, 어쩌면' 할 수 있는 일들을 해당 노트북에 작성 후 잊어버리면 됩니다. 그리고 1주일에 한 번 정도만 확인하면서 기회가 되면 구체적인 계획들을 하나둘씩 가볍게 작성해 가시면 됩니다.
 
    저의 경우 '보고 싶은 책/영화/공연, 가고 싶은 여행지, 가지고 싶은 물건' 등의 노트북을 만들어서 활용 중입니다.


  5) #100. 심력

    정서적 필요를 채우기 위한 스택으로 '비전, 묵상' 등의 노트북을 만들어서 활용 중입니다.


  6) #200. 지력

    각 분야별 지식들을 '교보문고 서점의 배열 방식'(잡지, 언어, 정치, 경제, 사회, 예술 등)을 참고로 하여 노트북을 만들어서 해당 정보의 지식을 영역별 노트북에 이동하여 활용하고 있습니다.


  7) #300. 체력

    건강 관련 스택으로 '운동, 영양, 휴식, 질병, 환경' 등의 노트북을 만들어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8) #400. 자기관리능력

    개인의 시간, 재물, 차량, 주택, 실적 등을 관리하기 위한 스택으로 해당 노트북을 만들어서 활용 중입니다.


  9) #500. 인간관계능력

    사람들과의 관계 발전을 위한 스택으로 '가정, 직장, 교회, 연구회' 등의 노트북을 만들어서 활용 중입니다.


<에버노트 스택 활용 예시>


<에버노트 노트 작성 화면>



<에버노트 노트 작성 화면의 '첨부' 및 '만들기' 메뉴>





<일반 카메라>


<포스트잇 카메라>



+ Recent posts